해상풍력발전, 이젠 '부유식'이 대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482회
작성일 22-07-06 11:13
본문
정부의 재생에너지 3020 목표달성을 위해 각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고 있는 해상풍력 가운데 바다 위에 떠 있는 형태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사업에 민간 기업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수심 60m 이하의 연안에 설치하는 ‘고정식’에 비해 바람의 질이 우수하며 무엇보다 먼바다에 설치해 민원 발생 소지가 적은 것이 관심 배경으로 풀이된다.
2일 전국 각 지자체에 따르면 최근 SK건설과 영국의 GIG, 덴마크의 CIP, 미국의 PPI 등이 울산시에 부유식 풍력발전단지 건설 사업 계획서를 제출했다.
먼저 SK건설은 12조원을 투자해 울산 동해가스전 인근에 1,200㎿를 생산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 인프라를 만들겠다고 제안했다. SK건설은 20년간 지역 수입 약 3조원, 일자리 창출, 바다목장 조성 등을 기대효과로 제시했다. SK건설은 특히 해양플랜트 물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대중공업에 유휴인력과 부지를 활용한 풍력발전 부품 제작 참여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의 GIG도 12조원 규모로 울산시에 사업 제안을 했으며, 덴마크의 CIP도 사업 참여 의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풍력 전문기업 PPI는 국내 기업과 함께 조선 및 해양플랜트 등과 연계한 해상풍력단지를 개발, 울산에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방안을 밝혔다.
정부 과제로 선정된 곳은 울산을 비롯해 경북 영덕과 경남 통영 욕지도, 전북 군산 말도와 전남 영광 안마도 등 5곳이다. 하지만 울산을 제외한 나머지 4곳의 사업 속도는 더디다. 4곳 사업 예정지 모두 연안에 있고 수심이 얕아 ‘고정식’을 적용해야 하는 지역으로 양식장 어업면허 보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통영시 욕지도 일원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계획은 인근 어민들의 반대가 있어 경남도에서 직접 관련 사업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있다”고 밝히며 현재 진행 과정을 설명했다. 다른 시·도 또한 주민 수용성 확대 방안을 비롯한 해저지반 조사, 입지 적합성 평가 등 종합 연구를 진행하는 수준이다.
울산에서도 일부 사업은 원활하지 못하다. 사업 실증을 위해 울주군 서생면 앞바다에 1년 정도 설치했다 철거하고자 하는 75㎾급 부유식 풍력발전설비가 주민 동의를 다 얻지 못해 착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미역양식장과 1㎞ 거리가 걸림돌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민간 기업이 민원을 직접 해결하기엔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투자자 지원과 주민 수용 지원 등 시가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마련해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반면 정부 과제와 별개로 부산에서는 부산테크노파크와 스웨덴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 엔지니어링 기업 헥시콘이 지난 6월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 개발과 부산 해역 입지 개발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헥시콘은 바다 공간의 설치 밀도를 높일 수 있어 기존 고정식 해상풍력과 단일 터빈 부유식 방식보다 경제적으로 비교우위가 있는 다중 터빈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방법은 기존 조선소에서 하부 부유체와 상부 풍력 시스템을 조립해 발전단지로 이동, 해상에서 설치만 하는 방식으로 설치비가 적게 들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2일 전국 각 지자체에 따르면 최근 SK건설과 영국의 GIG, 덴마크의 CIP, 미국의 PPI 등이 울산시에 부유식 풍력발전단지 건설 사업 계획서를 제출했다.
먼저 SK건설은 12조원을 투자해 울산 동해가스전 인근에 1,200㎿를 생산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풍력 인프라를 만들겠다고 제안했다. SK건설은 20년간 지역 수입 약 3조원, 일자리 창출, 바다목장 조성 등을 기대효과로 제시했다. SK건설은 특히 해양플랜트 물량 감소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대중공업에 유휴인력과 부지를 활용한 풍력발전 부품 제작 참여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의 GIG도 12조원 규모로 울산시에 사업 제안을 했으며, 덴마크의 CIP도 사업 참여 의향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의 풍력 전문기업 PPI는 국내 기업과 함께 조선 및 해양플랜트 등과 연계한 해상풍력단지를 개발, 울산에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방안을 밝혔다.
정부 과제로 선정된 곳은 울산을 비롯해 경북 영덕과 경남 통영 욕지도, 전북 군산 말도와 전남 영광 안마도 등 5곳이다. 하지만 울산을 제외한 나머지 4곳의 사업 속도는 더디다. 4곳 사업 예정지 모두 연안에 있고 수심이 얕아 ‘고정식’을 적용해야 하는 지역으로 양식장 어업면허 보상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경남도 관계자는 “통영시 욕지도 일원의 해상풍력 발전단지 계획은 인근 어민들의 반대가 있어 경남도에서 직접 관련 사업의 장단점을 설명하고 있다”고 밝히며 현재 진행 과정을 설명했다. 다른 시·도 또한 주민 수용성 확대 방안을 비롯한 해저지반 조사, 입지 적합성 평가 등 종합 연구를 진행하는 수준이다.
울산에서도 일부 사업은 원활하지 못하다. 사업 실증을 위해 울주군 서생면 앞바다에 1년 정도 설치했다 철거하고자 하는 75㎾급 부유식 풍력발전설비가 주민 동의를 다 얻지 못해 착수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미역양식장과 1㎞ 거리가 걸림돌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민간 기업이 민원을 직접 해결하기엔 어려움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며 “투자자 지원과 주민 수용 지원 등 시가 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마련해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밝혔다.
반면 정부 과제와 별개로 부산에서는 부산테크노파크와 스웨덴 부유식 해상풍력 플랫폼 엔지니어링 기업 헥시콘이 지난 6월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 개발과 부산 해역 입지 개발을 함께 추진하고 있다. 헥시콘은 바다 공간의 설치 밀도를 높일 수 있어 기존 고정식 해상풍력과 단일 터빈 부유식 방식보다 경제적으로 비교우위가 있는 다중 터빈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방법은 기존 조선소에서 하부 부유체와 상부 풍력 시스템을 조립해 발전단지로 이동, 해상에서 설치만 하는 방식으로 설치비가 적게 들고 공사 기간도 단축할 수 있다.
/울산=장지승기자 jjs@sedaily.com
관련링크
- 이전글유니슨-전남테크노파크, 풍력 테스트베드 위해 손잡아 22.07.06
- 다음글삼척 하장면에 풍력발전소 건설 22.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