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98MW 해상풍력단지 조성 ‘눈앞’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조회 221회
작성일 22-07-06 11:00
본문
새만금 방조제에 해상풍력발전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 산업통상자원부의 전기사업허가를 통과해 본격적인 인허가 절차 등을 걸쳐 오는 2017년부터 본격적인 조성에 들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새만금해상풍력(주)에 따르면 전북 군산시 새만금 4호방조제 안쪽에 조성하는 ‘새만금 해상풍력발전사업’이 최근 산업부 전기위원회의 전기사업허가를 취득하는데 성공, 본격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개발행위신청 등 인허가, 새만금개발청과의 부지임대계약 등 각종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번 해상풍력단지는 총 31만5,252m² 규모의 4호방조제 안쪽 해상부지에 98.8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기가 설치될 예정이며 총 사업비는 3,6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자본이 투입될 예정이다.
새만금해상풍력(주)는 올해부터 2018까지 사업준비기간을 거쳐 오는 2017년 1차 조성사업을 개시한 후 2018 9월 이후 2차 조성사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운영기간은 상업운전 개시 후 25년이다.
이번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이 완료될 경우 이용률 26% 기준 연간 2억2,502만6,880kWh 규모의 전력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새만금해상풍력(주)는 이달 중으로 새만금개발청을 통해 전북도와 군산시 등 관련지자체에 사업허가를 신청한 후 환경영향평가 등 각종 인허가업무절차를 진행한 후 풍력발전기 설치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계획 등을 확정할 예정이다.
특히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예전 새만금방조제 육상풍력 설치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협의를 진행하는 등 풍력설치사업에 적극적이어서 인허가 절차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진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만금해상풍력(주)의 관계자는 “100% 민간투자를 통해 대규모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해외에서도 보기 드문 사례며 성공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라며 “이에 부지임대 권한이 있는 새만금개발청과 전북도가 각종 인허가 및 민원문제 해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협의가 된 상황이어서 예정된 기간에 설치사업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지난 2010년부터 2~3MW급 국산 대형풍력발전기의 수출상용화에 필요한 트랙레코드 확보를 위해 새만금 방조제에 총 사업비 827억원을 투입해 2014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했지만 국방부와 환경부가 군 레이더 운용 저해, 조류피해 발생 등의 이유로 이의를 제기해 사업부지 변경과 사업비 증가로 인해 추진이 지연됐다가 지난 2013년 감사원의 지적으로 사업이 무산된 바 있다.
본지 취재에 따르면 새만금해상풍력(주)는 이번 전기위원회 심사를 진행하는 동안 국내외 해상풍력발전기 기업과 설치사업을 위한 협의를 동시에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새만금해상풍력(주)의 관계자는 “현재 이번 사업지역에 적합한 해상풍력발전기와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를 대상으로 설치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라며 “현재 협의 중인 기업들이 공사일정에 맞춰 대규모의 단지조성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내년도 착공을 앞두고 신중하게 관련업체를 선정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효율적인 해상풍력 확대를 위한 과제
한편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는 서남해 해상풍력발전단지 외에도 이번 새만금과 함께 제주도 등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100% 민간투자를 통해 진행하는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실제 국내 풍력발전산업의 성장세로 이어갈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에선 대규모로 설치된 풍력발전기들에서 생산된 전력을 연계하기 위한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풍력발전기를 많이 설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설치된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연계해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 구축된 송전체계만으론 향후 대규모로 설치될 해상풍력발전단지 등의 풍력에너지 전력을 모두 수용할 수 없으며 수용불가능한 전력생산을 위한 대규모 설치는 의미가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의 연계방안을 서둘러야 향후 정부가 목표로 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국내 한 풍력전문가는 “최근 파리 기후변화총회에서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37% 줄이겠다고 발표했는데 이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방안은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한 풍력설치사업의 확대뿐이지만 문제는 현재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100% 수용해 연계하기 위한 기반구축이 안돼있다는 점이며 실제 서남해 해상풍력사업 추진과정에서도 변전소 문제로 정부가 많은 고민을 한 적이 있다”라며 “정부는 민간사업자들의 풍력설치사업이 확대될 수 있도록 풍력에서 생산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이번 새만금과 같은 민간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새만금해상풍력(주)에 따르면 전북 군산시 새만금 4호방조제 안쪽에 조성하는 ‘새만금 해상풍력발전사업’이 최근 산업부 전기위원회의 전기사업허가를 취득하는데 성공, 본격적인 사업추진을 위한 개발행위신청 등 인허가, 새만금개발청과의 부지임대계약 등 각종 절차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번 해상풍력단지는 총 31만5,252m² 규모의 4호방조제 안쪽 해상부지에 98.8M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기가 설치될 예정이며 총 사업비는 3,6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자본이 투입될 예정이다.
새만금해상풍력(주)는 올해부터 2018까지 사업준비기간을 거쳐 오는 2017년 1차 조성사업을 개시한 후 2018 9월 이후 2차 조성사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운영기간은 상업운전 개시 후 25년이다.
이번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이 완료될 경우 이용률 26% 기준 연간 2억2,502만6,880kWh 규모의 전력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새만금해상풍력(주)는 이달 중으로 새만금개발청을 통해 전북도와 군산시 등 관련지자체에 사업허가를 신청한 후 환경영향평가 등 각종 인허가업무절차를 진행한 후 풍력발전기 설치업체 선정을 위한 입찰계획 등을 확정할 예정이다.
특히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예전 새만금방조제 육상풍력 설치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협의를 진행하는 등 풍력설치사업에 적극적이어서 인허가 절차에서 큰 문제가 발생하진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만금해상풍력(주)의 관계자는 “100% 민간투자를 통해 대규모 해상풍력발전사업을 진행하는 것은 해외에서도 보기 드문 사례며 성공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라며 “이에 부지임대 권한이 있는 새만금개발청과 전북도가 각종 인허가 및 민원문제 해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협의가 된 상황이어서 예정된 기간에 설치사업 착공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은 지난 2010년부터 2~3MW급 국산 대형풍력발전기의 수출상용화에 필요한 트랙레코드 확보를 위해 새만금 방조제에 총 사업비 827억원을 투입해 2014년 완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했지만 국방부와 환경부가 군 레이더 운용 저해, 조류피해 발생 등의 이유로 이의를 제기해 사업부지 변경과 사업비 증가로 인해 추진이 지연됐다가 지난 2013년 감사원의 지적으로 사업이 무산된 바 있다.
본지 취재에 따르면 새만금해상풍력(주)는 이번 전기위원회 심사를 진행하는 동안 국내외 해상풍력발전기 기업과 설치사업을 위한 협의를 동시에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새만금해상풍력(주)의 관계자는 “현재 이번 사업지역에 적합한 해상풍력발전기와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를 대상으로 설치업체를 선정하기 위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라며 “현재 협의 중인 기업들이 공사일정에 맞춰 대규모의 단지조성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어 내년도 착공을 앞두고 신중하게 관련업체를 선정해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효율적인 해상풍력 확대를 위한 과제
한편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는 서남해 해상풍력발전단지 외에도 이번 새만금과 함께 제주도 등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100% 민간투자를 통해 진행하는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실제 국내 풍력발전산업의 성장세로 이어갈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에선 대규모로 설치된 풍력발전기들에서 생산된 전력을 연계하기 위한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풍력발전기를 많이 설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설치된 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연계해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 구축된 송전체계만으론 향후 대규모로 설치될 해상풍력발전단지 등의 풍력에너지 전력을 모두 수용할 수 없으며 수용불가능한 전력생산을 위한 대규모 설치는 의미가 없다는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로 생산된 전력의 연계방안을 서둘러야 향후 정부가 목표로 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는데 현실적인 어려움이 크게 줄어든다는 것이다.
국내 한 풍력전문가는 “최근 파리 기후변화총회에서 한국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37% 줄이겠다고 발표했는데 이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가장 효율적인 방안은 해상풍력을 중심으로 한 풍력설치사업의 확대뿐이지만 문제는 현재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100% 수용해 연계하기 위한 기반구축이 안돼있다는 점이며 실제 서남해 해상풍력사업 추진과정에서도 변전소 문제로 정부가 많은 고민을 한 적이 있다”라며 “정부는 민간사업자들의 풍력설치사업이 확대될 수 있도록 풍력에서 생산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이번 새만금과 같은 민간투자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련링크
- 이전글삼척 하장면에 풍력발전소 건설 22.07.06
- 다음글전남 5GW 풍력발전사업 "순항" 22.07.06